전세보증금 사기, 눈감고 피하는 방법
2018. 2. 20.
내집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은 사람이 선택하는 전세. 그러나 전세와 관련된 사기가 급증하면서 전세를 찾는 세입자의 두려움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전세보증금은 적은 액수가 아니다보니 누구나 전세 사기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요. 그러나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사기 유형을 알면 전세 사기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의 3가지 유형 1) 이중계약 전세사기 첫번째, 건물관리인(임대인의 대리인)의 이중계약입니다. 오피스텔, 원룸과 같은 주거용 건물인 경우에는 건물관리인이 임대인으로부터 임대차 계약을 위임받아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위임을 받은 건물관리인이 임대인에게는 월세계약을 했다고 하고 임차인과는 전세계약을 해 전세보증금을 가로채는 사기 유형입니다. 2) 중개업등록증 및 신분증 위조 누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