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을까?'
크고 작은 분쟁 탓에 변호사를 찾아 상담하는 분들은 대개 상담 전 많은 고심의 과정을 거칩니다. 특히 부정적인 답변만 듣게 되는건 아닌지 걱정부터 앞서는데요. 변호사들은 이야기합니다. "그런 걱정보다 사건의 앞, 뒤 정황을 다시 한 번 파악하고 있는 그대로를 이야기해주세요."
소송은 이미 발생한(과거의) 일을 현재의 시점에서 돌아보고, 그 사실관계를 따지는 과정입니다. 판사는 그 과정을 따라 결론을 내리게 되죠. 결국 변호사를 찾기 전 여러분이 선행해야 할 것은 '어떤 대답을 들을 수 있을까'가 보다 '어떻게 하면 있는 그대로 잘 설명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입니다.
소송은 진실을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소송은 없는 사실, 혹은 허위로 가공해 낸 사실을 만들어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내는 절차가 아닙니다.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투명하고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증명시켜 사실 관계를 따지는 일인데요. 이 과정을 통해 사건의 시시비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판단은 변호사나 당사자가 아니라 법원합니다.
따라서 소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진실'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말도 안되는 범죄를 저지르고 나서 '무죄를 받아야지', 뻔히 부당한 일임을 알면서도 '빠져 나가야지'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무죄를 받기 위한 소송은 기본적으로 피고인(또는 피의자)이 억울하게 누명을 썼거나 범인으로 오인받는 경우일 때 가능합니다.
기억을 잘 정리하세요
소송은 이렇게 과거의 진실을 확인하는 절차이기에 상담 전 사건에 대한 이해와 관계 정리는 어느 정도 머릿 속에 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그래야 저희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고, 재차 묻지 않아도 해결의 맥을 정확히 짚어 낼 수 있으니까요. 만약, 변호사와의 상담이 잡혀 있거나 고려 중이라면 먼저 사건을 머릿 속으로 먼저 그려 볼 것을 권장합니다.
또 하나, 소송의 결과는 사실상 변호사와 상담하기 전 이미 정해져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진실은 하나니까요. 소송은 변호사의 변론기술이나 정보수집능력에서 판가름난다고 이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실상 이런 문제는 진실을 정확히 파악한 뒤에나 힘을 받쳐 줍니다. 그 진실은 누구보다 소송 당사자인 여러분께서 가장 잘 알고 계실 테고요.
증거가 될 수 있는 모든 자료는 KEEP
주장은 있는데 증거가 없는 사건이 있습니다. 변호사 입장에선 이보다 더 답답한 경우도 없는데요. 그래도 요즘은 스마트폰 때문에 덕을 보고 있습니다. 분쟁의 씨가 되는 서류와 문서 등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메시지, 통화 내용 녹취, 이메일 등이 자동으로 저장되니 말입니다.
증거 역시 없던 걸 만들어 낼 수는 없는 법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다면, 미리미리 제 주장을 뒷받침 할 증거들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찾아보고, 여기저기 산개되어 있는 증거들을 잘 모아 정리하십시오. 대부분의 저장정보는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삭제되거나 복구가 불가능해 질 수도 있습니다.
감정은 낮추고 이성은 높이고
민사든 형사든 어떤 분쟁에 휩싸인 상황이라면 일단 감정부터 올라가 있기 십상입니다. 아시겠지만, 세상 일 감정만 앞세워서 될 일이 하나 없습니다. 변호사와의 상담에서 감정만 앞세운 나만의 주장만 펼친다면, 그만큼 정보도 부족하고 편향된 시야를 가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소송에 갔을 때 오히려 상대에게 약점을 노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황을 이성적으로 판단한다 함은 결국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내 주장도 주장이지만, 먼저 어떤 상황에 의해 그와 같은 주장을 펼치고 있는 건지 이성적으로 생각해 상담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결국 목적은 여러분께서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니까요.
변호사에게 상담을 받아야 되나, 말아야 되나 라는 고민을 가진 분들께 마지막 당부를 드릴까 합니다. 상황이야 어쨋든, 법적인 분쟁이 생겼다면 고민말고 가까운 변호사부터 찾으시라는 당부인데요. 아무래도 망설이게 하는 첫번째 요인이 변호사 상담료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요즘은 상담 정도는 무료로 해주는 곳도 많으니, 부담은 내려 놓으시라는 겁니다. 그보다 사건 해결의 방향을 빨리 찾는 게 더 중요하니까요.
'이럴 땐, 이렇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결제 거부당했을 때 대처방법 (1) | 2016.06.15 |
---|---|
억울한 성추행 누명, 단계별 대응 가이드 (0) | 2016.06.13 |
SNS 신상도용, 처벌 수위와 올바른 대처방법 (0) | 2016.05.31 |
변호사가 알려주는 보복운전 대처방법 (0) | 2016.05.29 |
변호사가 알려주는 성추행 누명 대처방법 (0) | 2016.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