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여름 휴가철입니다. 다들 어디로 떠날 계획을 하고 계신가요? 산으로, 들로, 계곡이나 바다로 많이 떠날거라고 예상되네요. 저희 법무법인도 역시나 여름 휴가철 기간이라 몇몇 직원들이 자리를 비웠답니다. 아마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분들이 즐거운 여름 휴가를 보내고 계실거라고 생각되는데요.
모든 이에게 즐거움이 되는 여름 휴가!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고통의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휴가철 범죄 및 사건사고에 당하는 경우인데요. 휴가고 나발이고 골치 아파질겁니다. 실제로 여름 휴가철 7~8월에 5대 범죄 발생률이 18%나 증가한다는 경찰청의 발표도 있을 정도니, 여러분도 유의하셔야겠죠? 여름 휴가철에는 어떤 범죄들이 많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응, 예방해야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디선가 몰래 지켜보고 있다?
1) 피서지 몰래카메라
젊은 사람들이 많이 떠나는 피서지, 바로 해수욕장입니다. 해수욕장에는 워낙 많은 사람들이 몰려있어서 정신없기 마련인데요. 이 틈을 타서 '몰래카메라'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해변가에서 선탠을 하거나 수영을 하는 광경을 몰래 촬영하는 범죄가 많으며 혹은 화장실, 탈의실에 몰래카메라를 설치하는 사건도 흔치 않게 발생하고 있죠.
① 카메라나 그 밖에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성척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그 촬영을 배포, 판매, 제공, 상영 등을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몰래카메라를 이용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행위는 명백한 범죄이며 중한 처벌을 받습니다. 놀러왔다는 핑계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말도 안되죠. 꼭 피해를 당하기 전에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했을 때에는 현명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일단 누군가 자신을 촬영했다는 짐작이 들면 곧바로 휴대전화를 보여달라는 요청을 해야 하며 발견 즉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사진은 삭제하지 못하도록 꼭 피해자가 가지고 있어야하고요.
여름철 몰래카메라 범죄가 심해지다보니 경찰이 직접 해수욕장이나 피서지 단속을 나서기도 하며 성범죄를 신고한 사람에게는 포상금을 주는 제도도 늘리고 있는 추세입니다. 몰래카메라 범죄가 발생했다면 꼭 휴대폰 압수, 신고는 꼭 하시길 바랍니다.
성범죄는 꼭 강력하게 대응하기!
2) 피서지 성범죄 (성폭행&성추행)
몰래카메라 범죄와 더불어 휴가철에 더 주의해야 할 범죄가 바로 성폭력&성추행 범죄입니다. 아무래도 많은 인파가 몰려있다보니 신체접폭이 불가피하고, 또한 밤에 음주를 하기 때문에 더욱이 성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요.
① 늦은 시간 홀로 배회하지 않기
② 부득이 혼자 다닐 경우 호신용품 소지하기
③ 피서지 과도한 음주 피하기
④ 호의적으로 동승 권하는 차량 피하기
⑤ 카메라 플래쉬가 터지면 몰카 여부 확인하기
⑥ 불쾌한 신체접촉, 강하기 거부하기
⑦ 숙박업소 문단속 철저히 하기
성범죄를 당했을 때, 피해자 입장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처하는게 중요합니다. 피해 사실을 적극 신고해야 하며 피해를 당한 증거, 증인을 확보해야 하죠. 하지만 무엇보다 성범죄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벼운 신체 접촉이라도 거절의 의사표현을 완강히 하고, 야밤에 술을 조절해서 마시며 혼자 다니지 않는 노력을 기울이셔야하죠.
올 여름에는 피서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 대천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해운대 등 91개 피서지에 여름경찰관서를 설치해서 피해를 예방하고 대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경찰의 노력으로 여름철 성폭력 피해가 줄어들었으면 좋겠네요.
점점 지능화되어 가는 절도 범죄
3) 휴가철 반짝, 절도&빈집털이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빈집털이 범죄의 약 30%가 6~8월 사이에 일어난다고 합니다. 범죄자들도 휴가철에는 집이 비어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거죠. 게다가 빈집털이 범죄가 점점 지능형 범죄로 진화하고 있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관 앞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비밀번호를 알아낸다거나, 디지털 도어락이 닳는 부분, 지문을 확인해서 비밀번호를 알아내기도 하죠. 또한 집주인이 휴가를 떠난다는 사실을 SNS에서 확인한 뒤 빈집을 터는 경우도 있어서 충격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① 집주소와 전화번호
→ 집 주소를 통해 주소를 파악하고 전화를 걸어보고 빈집털이를 한 사례가 있습니다.
② 개인정보 및 일상생활
→ 출생지 정보, 친구 정보를 이용해서 보이스 피싱을 한 사례가 있으며 생일이나 전화번호를 통해 집 비밀번호를 알 수도 있습니다.
③ 휴가 및 외출 계획
→ 휴가 계획을 올려놓으면 그 사이 빈집을 털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 위치 정보가 드러난 글이나 사진
→ 위치 서비스를 통해 휴가 사실을 확인하고 빈집 털이 범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빈집 뿐만 아니라 텐트, 자동차 내 귀중품이 없어지는 사건들도 빈번합니다. 사람이 워낙 많으니 범인을 찾기도 어렵고요. 인파가 모인 장소라면 꼭 누군가 한명이 텐트나 자동차를 지키는 것이 좋으며, 최대한 노는 곳과 멀리 떨어지지 않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귀중품을 가까이에 소지하고 다니는 노력이 필요하겠죠?
휴가철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아마 올 여름 휴가철에도 수많은 사건사고가 발생하겠죠. 여러분에게도 언제 범죄 사건이 발생할지 모르는 일입니다. 예방법&대처법을 알아두신다면 휴가철 내내 마음이 편하실 수도 있을거예요. 즐거운 여름 휴가 보내고 오시길 바랍니다 ^^
'이럴 땐, 이렇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 오프라인에 따라 달라지는 상품 환불규정 (0) | 2016.08.02 |
---|---|
중고거래 사기, 예방&대처법 (0) | 2016.07.27 |
친자확인소송의 종류와 주의사항 알아보기 (0) | 2016.07.24 |
도박, 합법이냐 불법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0) | 2016.07.18 |
성매매 알선, 처벌수위와 대처방법 (0) | 2016.07.15 |